한반도 최북단, 금강산의 마지막 봉우리 ‘구선봉’을 마주한 곳. 동해안과 내륙이 만나는 이곳에는 대한민국의 최전선을 지키는 육군 제22보병사단 금강중대가 있다. 평화로운 풍경 속에서도 365일, 24시간 멈추지 않는 긴장과 작전이 이어진다. ■ 실전 같은 긴박한 현장, “비상이면 즉시 투입”금강중대에는 새벽부터 경보음이 울렸다. 감시장비에 군사분계선(MDL) 남쪽으로 이동 중인 미상 인원이 포착된 것이다. 대원들은 지체 없이 장비를 챙겨 출동했다. 숲을 해치며 북에서 내려오는 인원이 확인되자, 중대는 신속하게 영토 침입 가능성을 경계하며 대응 작전을 펼쳤다. 현장 대원은 “언제 어디서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훈련 때마다 실전처럼 임한다”며 “하루하루가 실제 작전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 북한과 도로로 연결된 ‘금강 통문’금강중대의 경계선에는 북과 직접 연결된 금강통문이 있다. 과거 실제 귀순자 포착과 체포 작전이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귀순자 발생 시에는 단순한 신병 확보를 넘어, 추격조나 위협 세력의 동향까지 실시간 감시·대응해야 한다. 한 대원은 “어둠을 틈타 내려오는 인원을 포착하는 순간 긴장이 최고조로 오른다”며 “한 치의 방심도 허용되지 않는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가 주최한 ‘광화문 국민대회’가 11월 1일(토) 오후 1시 서울 광화문 이승만광장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날 당진 지역에서도 약 30여 명의 애국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상경해 집회와 도심 행진 전 구간을 함께하며 강한 결속력을 보여줬다. 이들은 오전 일찍 차량편으로 당진을 출발해 광화문 현장에 도착,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와 ‘대한민국 자유 수호’를 외치는 시민들과 함께했다. 현장에는 주최 측 추산 약 10만여 명이 모여 광장을 가득 메웠으며, 집회 내내 질서정연한 분위기 속에서 자유와 정의를 강조하는 발언이 이어졌다. 주 연사로 나선 전광훈 국민혁명의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은 반드시 돌아올 것이며 정의로운 판결이 머지않았다”고 선언하며 “신앙과 자유의 가치로 대한민국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날 당진 참석자들은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믿음을 지키는 국민이 되어야 한다”며 “서울 한복판에서 자유대한민국을 외치는 그 순간이 감격스러웠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광화문 현장에서 느낀 시민의 힘과 연대의식이 지역 사회에도 확산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행사는 오후 3시 50분경 마무리 집회를 끝으로 도심 행진으
서울 양재에 위치한 메디팜 정연약국의 임명덕 약사는 30년 이상 한약과 양약을 겸비하며 쌓아온 독특한 건강 철학으로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자자하다.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현대인의 건강 문제를 '당독소'와 '장 건강'이라는 키워드로 풀어냈다. "과일에 설탕을 더하는 건 독을 먹이는 것"임 약사는 인터뷰 첫 마디부터 강한 어조로 현대 식습관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과일이 이미 달잖아요. 그런데 왜 거기에 설탕까지 넣어서 먹입니까? 아이들은 단 것을 먹어버릇하면 더 단 게 땡깁니다. 몸에서 단맛을 부르는 거예요." 그가 말하는 '당독소'는 탄수화물이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변환된 후 세포가 사용하고 남은 것이 점막에 염증을 만들거나 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학계에서 '최종 당화 산물(AGEs)'로 불리는 개념으로, 약 7-8년 전 국내 신약 개발 박사가 처음 '당독소'라는 용어로 대중화했다고 한다. 장이 건강해야 뇌도 건강하다임 약사가 특히 강조한 부분은 장과 뇌의 연결고리였다. "장이 쭉 펴면 축구 운동장만 합니다. 거기서 흡수된 염증 물질이 미주신경을 타고 고속도로처럼 바로 뇌로 갑니다. 소화기계가 약해지면 뇌를 반드시 치게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