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이 되면 누구나 자신에게 질문이 많아진다. 지금 나는 인생길을 제대로 가고 있는 걸까?" 출판기획자 데이브가 최근 출간한 『마흔에 쓰는 자서전』(일리출판사, 18,500원)에서 마흔을 맞은 중년층에게 자서전 쓰기를 통한 인생 중간점검을 제안하고 있다. 이 책은 마흔을 "불혹(不惑)이 아닌 흔들리고, 삶의 방향을 묻는 때"로 정의하며, 자서전 쓰기를 통해 과거 치유, 현재 정리, 미래 설계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마흔이 되면 문득 심란해진다. 그동안은 젊음의 열정으로 앞만 보고 달릴 수 있었지만, 마흔의 어느 날 불현듯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도 서른넷에 자서전 출간책에서는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사례를 주목할 만한 예로 제시한다. 오바마는 1995년 서른넷의 나이에 자서전 『내 아버지로부터의 꿈』을 출간했다. 케냐 출신 흑인 아버지와 미국 출신 백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정체성 혼란을 겪다가 케냐를 방문해 아버지를 이해하고 자신의 뿌리를 찾는 과정을 자서전에 담았다. 이 책으로 '현대 정치판에 뛰어든 가장 뛰어난 문필가'라는 찬사를 받은 오바마는 이후 정치인으로 성장해 미국 대통령이 됐다. "유명인만의 전유물
경기도 광주시 방세환 시장이 민선 8기 출범 3주년을 맞아 그간의 시정 성과를 발표하며, 시민과 함께 걸어온 발걸음을 돌아보고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도시, 사람, 미래를 잇다" 철학으로 3년간 질주 방세환 시장은 민선 8기 출범 이후 3년간 "도시, 사람, 미래를 잇다"는 시정 철학 아래 도시의 균형 있는 발전과 시민 중심 행정을 위해 쉼 없이 달려왔다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 다섯 가지 핵심 방향을 중심으로 시정을 운영해 왔다는 것이 방 시장의 설명이다. 방 시장은 "지난 3년간 광주시는 시민 중심 행정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이 자리는 지난 시간을 함께 돌아보고, 남은 기간을 어떻게 설계해 나갈지를 시민 여러분께 보고드리는 소중한 자리"라고 강조했다. 국제 행사 유치로 문화·관광 기반 확대 경기 광주시는 2025 대한민국 산림박람회와 2026~2027 경기도종합체육대회 유치에 성공하며 문화·관광 기반을 크게 넓혔다. 방세환 시장은 "이를 통해 광주는 국제 행사가 어울리는 품격 있는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고 자평했다. 특히 송정동 도시재생사업의 핵심 시설인 '통미햇살마루'가 최근 최종사용 승인을 받으면서, 시민들에게 문화와 복지, 교육 서비스를 제공
2025년 남현예술길 야행, 여름밤을 예술로 물들이다! 오는 7월 5일(토) 오후 5시부터 10시까지 서울 관악구 남현동 남현1길과 남현예술정원 일대에서 '2025년 남현예술길 야행' 행사가 열린다. 작년 10월 성공적으로 막을 내린 첫 번째 축제에 이어, 더욱 풍성해진 프로그램으로 찾아오는 두 번째 만남이다. 예술가들이 만든 작은 기적의 시작! 남현예술길의 탄생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빈 건물들이 하나둘씩 예술가들의 작업실로 변하기 시작하면서, 임대료 부담 없이 창작에 집중할 수 있는 이곳에 자연스럽게 '작은 예술촌'이 형성됐다. 갤러리형 카페, 공방, 즉석 공연까지, 대기업 자본이 아닌 순수한 예술혼으로 만들어낸 변화의 시작이었다. 상인-예술가-주민, 세 박자가 만든 완벽한 하모니! 남현예술길 야행의 진짜 힘은 바로 '사람'에 있다. 상인회는 젊은 취향에 맞는 메뉴 개발에 나서고, 예술가들은 공간에 감성을 입히며, 주민들은 따뜻한 환대로 분위기를 만들어 간다. 작년 첫 축제에서는 엄선된 20개 맛집의 야간포차와 골목 구석구석 펼쳐진 예술 퍼포먼스가 만나 독특한 조합을 선보였다. "단순히 먹고 마시는 게 아니라, 예술작품도 보고 작가와 이야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