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유기 순환농업과 무농약 인중 건수와 면적, 친환경 농민들의 숫자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기에 지금 보다 더 줄어들게 되면 되돌아오는 길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절박하고 간절한 심정으로 토론회를 준비하게 되었다' 고 한국친환경농업협회 김상기 회장님께서 말씀했다.
우리나라 농업의 미래는 친환경 유기 순농업으로 전환해가야 한다는 부분에서는 모든 분이 동의하는 부분일 것이다.
토론회 진행은 '기후재난과 친환경농업 현황' 곽현용 한살람전무이사의 사례발표 1과 '경기 친환경인증 임차 농가의 피해 현황' 문종옥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부회장의 사례2로 진행했다.
김태연 단국대학교교수(한국유기농업학회이사)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친환경농업의 혁신 전략과 과제' 발제와
박석두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이사겸 연구위원의 '친환경농업 주요 제도 개선 과제' 발제로 이어졌다.
친환경농업 활성화 방안으로 토론회에서 많은 발언들이 나왔고 우리가 개선하고 인지해야될 시안들도 있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농업,농촌 분야 탄소중립 대책이 절실하다. 친환경농업의 정의 확립과, 교육기반 마련, 소비자 인식 개선 필요성도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