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어제 방문자
13,929

경기

지속가능관광지방정부협의회, 안성시와 '생활인구 교류사업' 본격 추진

바우덕이 남사당놀이 등 전통예술의 도시 안성, 고향사랑기부자와 함께하는 문화향유형 교류 프로그램 운영

 

지속가능관광지방정부협의회는 경기도 안성시, 광주광역시 동구·남구,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고성군, 전라남도 신안군 등 6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생활인구 교류사업'을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고향사랑기부자를 대상으로 지역 간 상호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 지자체별로 2박 3일간 진행되는 투어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지역의 역사·문화·자연·생활을 직접 체험하며, 지속적으로 지역을 방문하고 머무는 ‘생활인구’로의 전환을 유도할 예정이다.

 

전통과 예술이 살아 숨 쉬는 도시, 안성에서 만나는 생활인구 교류

 

경기도 안성시는 전통문화와 예술의 고장으로, 바우덕이 남사당놀이를 비롯한 풍부한 유·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생활인구 교류사업은 이러한 안성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고향사랑기부자를 지역문화 현장으로 초대해 전통공연 관람, 공예체험, 농촌마을 방문 등 전통과 생활이 어우러진 문화향유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참가자들은 안성의 대표 유산인 남사당놀이의 흥겨운 공연을 관람하고, 지역 장인과 함께 공예체험을 하며, 농촌마을을 찾아 주민과 교류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협의회는 “기부자들이 안성의 전통예술과 공동체 문화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문화향유와 지역참여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생활인구 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역 간 상생을 위한 ‘사람 중심의 교류 실험’

 

협의회는 2022년 창립 이후 ‘지속가능관광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과 ‘생활인구 확대’를 핵심 의제로 삼아왔다. 이번 생활인구 교류사업은 이러한 비전의 연장선으로, 관광 중심의 단순 체류를 넘어 지역의 사람과 공동체가 연결되는 구조를 실험하는 프로젝트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고향사랑기부제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생활인구 교류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고향사랑기부를 통해 지역과 인연을 맺은 사람들을 실제 현장으로 초대하여, 지역민과의 만남, 로컬자원 체험, 마을탐방, 문화행사 참여 등을 통해 지역의 삶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됐다.

 

협의회는 이를 통해 “기부자–지역–주민” 간의 선순환 관계를 구축하고, 기부를 단순한 후원이 아닌 지속적인 교류와 체류로 확장하는 새로운 지역관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이 사람을 부르고, 사람이 지역을 키운다.

 

협의회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방소멸과 인구감소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생활인구 정책, 복수주소제, 고향사랑기부제와 연계하여, 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만들어가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인구 교류사업 참가 신청은 협의회 사무국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공감만세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모집은 고향사랑기부제에 참여한 기부자를 대상으로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참가자는 2박 3일간 해당 지역의 투어 프로그램과 숙박, 식사, 지역 내 교통편을 모두 제공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운영기관인 사회적기업 ㈜공감만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협의회 관계자는 “이번 교류사업은 고향사랑기부자와 지역이 단순한 후원 관계를 넘어 실제로 만나고 교류하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의 매력을 직접 체험한 참가자들이 이후에도 자발적으로 방문하며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생활인구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