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전세계적 관심 의제로 대두되고 있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25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과 이동규 기후미래 공동대표, 고영주 아시아기술혁신학회장, 김준범 유럽환경에너지협회장, 부 반 히에우 주한베트남 서기관 등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플라스틱 혁신을 위한 탈플라스틱 국제 협력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기반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날로 강화되는 국내외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마련했다.
토론회는 △기조 발표 △발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했다.
먼저 이동규 기후미래 공동대표는 ‘유엔 플라스틱 협상과 정의로운 전환’을 주제로 한 기조발표를 통해 “유엔은 플라스틱 오염종식을 위해 구속력이 있는 국제 플라스틱 조약을 추진 중”이라며 탈플라스틱 순환체계 구축 방향에 대해 조언했다.
이 대표는 “단순히 폐기물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플라스틱 가치사슬의 취약계층 및 지역사회를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러한 탈플라스틱 순환체계가 구축되면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정의로운 전환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제는 오혜정 충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을 위한 충남형 탈플라스틱 실천전략’에 이어 김준범 유럽환경에너지협회 회장이 ‘유럽 및 프랑스 플라스틱 규제 동향과 기업 사례’를 소개했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부 반 히에우 주한 베트남대사관 1등 서기관은 ‘베트남 탈플라스틱 현안과 한-베 협력 방안’에서 “매년 약 300만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배출”한다며 “베트남과 충남도와 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정책교류 및 기술협력”을 제안했다.
종합토론에서는 도의 탈플라스틱 현안 및 유럽 플라스틱 규제 동향 등을 공유하고, 글로벌 탈플라스틱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도는 2022년 10월 전국 최초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선포와 함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탈플라스틱 4대 분야 21개 실천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지난 4월 착수보고회를 개최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기반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은 오는 9월 중간보고회에 이어 12월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영명 환경산림국장은 “탈플라스틱 순환경제로의 정의로운 전환이라는 글로벌 흐름 속에서 우리 도가 선도적인 모델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